영화 산업: Democratization movement
- 2025
지금, 녜인 (2025)
지금, 녜인02025HD
한국인 최진배와 미얀마인 녜인따진은 국제 부부다. 7년 전, 미얀마 만달레이 관공서에서 일하던 최진배는 녜인따진을 만나 결혼했고, 한국에서 식을 올린 뒤 미얀마로 돌아가려 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귀국이 무산되면서, 두 사람은 서울 노원구 공릉동의 집에 머무르게 된다. 어느 날, 최진배는 미얀마에서 날아온 사진 한 장을 받는다. 사진은 쿠데타 이후 파괴된 마을의 모습을 담았다. 그는 미얀마인들로부터 자국의 현실을 세상에 알려달라는 요청을 받게...
- 2020
광주비디오: 사라진 4시간 (2020)
광주비디오: 사라진 4시간5.52020HD
인생을 송두리째 뒤흔든 영화가 ‘광주비디오’인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80년 오월 광주를 담은 거대한 진실의 파도 앞에 인생의 항로를 바꿨다. 이 ‘광주비디오’를 만들고 전파한 것도 그 파도에 몸을 실은 사람들이다. 처음으로 공개되는 이들의 숨은 이야기와 5·18민주화운동 40주년, 아직도 밝혀지지 않은 집단 발포 현장의 사라진 4시간에 대한 추적!...
- 2020
민주주의의 대가 (2020)
민주주의의 대가02020HD
대만 민주화 40년의 역사를 돌아보는 영화. 한 젊은 감독이 한때 풀뿌리 운동가로 활동했지만 이제는 노장이 된 두 명의 운동가를 만나 지난 40년간의 민주화 과정을 함께 돌아본다. 당시 그들이 운동에 투신하게 된 계기와, 좌파운동가로 변모한 계기들, 그리고 당시의 한계를 기록한다....
- 2020
여름의 아홉 날 (2020)
여름의 아홉 날02020HD
1996년 여름, 연세대학교에서 범민족대회 통일대축전을 열고자 했던 대학생들은 정부와 격렬하게 대치한다. 20여년이 흘러 당시의 기록영상이 온라인에 게시되자 회고와 반성, 충격, 비난이 뒤섞인 반응들. 영화는 96년 연세대 항쟁 혹은 사태가 일어난 공간의 학생사회를 기록하고, 과거와의 관계 속에서 오늘을 보여주려 한다....
- 2021
10월의 이름들 (2021)
10월의 이름들52021HD
1979년 10월 16일, 부산대 학생들이 박정희 정권의 유신체제 철폐를 외치며 거리로 나섰다. 그게 시작이었다. 항쟁의 열기는 들불처럼 퍼져 5일간 지속되었고, 또 그만큼 신속하고 가혹하게 진압되었다. 그리고 6일 뒤,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고 유신체제는 무너진다....